맨위로가기

우치다 가즈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치다 가즈오는 일본의 축구 선수이자 지도자이다. 시미즈히가시 고등학교 선수 시절, 전국 대회 준우승과 국민 체육 대회 우승을 경험했으며, 고마자와 대학 졸업 후 시미즈 지역 축구팀에서 선수 생활을 했다. 1994년 제프 유나이티드 이치하라의 수석 강사로 지도자 경력을 시작했으며, 베갈타 센다이, 반포레 고후, 괌 축구 국가대표팀, 시미즈 에스펄스, 인촨 허란산 등 여러 팀을 거치며 감독직을 수행했다. 2010년 반포레 고후 감독으로 팀을 J2 리그 2위로 이끌어 J1 리그 승격을 달성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괌에 거주한 일본인 - 간베 스가오
    간베 스가오는 일본의 전직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선수 시절 풋살 국가대표로 활약했고, 지도자로서는 필리핀, 괌, 북마리아나 제도 국가대표팀 감독 및 제프 유나이티드 지바 감독, 그리고 태국 여러 클럽에서 감독직을 수행했다.
  • 괌의 외국인 축구 감독 - 간베 스가오
    간베 스가오는 일본의 전직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선수 시절 풋살 국가대표로 활약했고, 지도자로서는 필리핀, 괌, 북마리아나 제도 국가대표팀 감독 및 제프 유나이티드 지바 감독, 그리고 태국 여러 클럽에서 감독직을 수행했다.
  • 괌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서동원 (1973년)
    서동원(1973년)은 대한민국 U-20, A대표팀 출신 전직 축구 선수로 울산 현대, 아인트라흐트 트리어, 포항 스틸러스에서 선수 생활을 했으며, 은퇴 후 창원시청 코치, 고려대학교 축구부 감독을 거쳐 괌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을 역임한 지도자이다.
  • 괌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박충균
    박충균은 대한민국 전 축구 선수이자 지도자로서 선수 시절에는 여러 팀에서 활약했고, 은퇴 후에는 여러 팀의 코치와 감독을 역임했으며, 2022년 서울 이랜드 FC 감독을 맡았으나 사임했다.
우치다 가즈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가즈오 우치다
원어 이름内田 一夫
로마자 표기Uchida Kazuo
출생일1962년 4월 18일
출생지시즈오카, 시즈오카, 일본
신장1.65m
선수 경력
유소년 클럽시미즈 히가시 고등학교
고마자와 대학
감독 경력
2004년일본 U-17 (코치)
2010년방포레 고후
2011년
2012–2015년시미즈 S-펄스 (코치)
2015년시미즈 S-펄스 reserves
2016년인촨 헬란산
2017–2018년쑤저우 둥우

2. 선수 경력

우치다 가즈오는 시즈오카시 출신으로, 시미즈히가시 고등학교와 고마자와 대학에서 축구 선수로 활동했다. 고등학교 시절에는 주요 전국 대회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으며, 대학 졸업 후에는 지역 축구팀인 시미즈 클럽에서 선수 생활을 이어갔다. 선수 활동과 병행하여 학업에도 힘썼다.

2. 1. 고등학교 및 대학교 시절

우치다는 1962년 4월 18일, 당시 '축구 왕국'으로 불리던 시즈오카현 시미즈시(현 시즈오카시 시미즈구)에서 태어났다. 고등학교는 시미즈히가시 고등학교에 진학하여 축구 선수 경력을 시작했다. 당시 시미즈히가시 고등학교는 전성기를 맞이하고 있었는데, 1년 선배로는 오키 다케시, 모치즈키 카즈요리가 있었고, 1년 후배로는 소리마치 야스하루, 사와이리 시게오, 모치즈키 타츠야 등 훗날 J리그 선수나 감독이 되는 인물들이 함께했다. 우치다는 3학년 때 고교 총체에서 우승했고, 1980년 선수권 대회에서는 준우승을 차지했다. 또한 국민 체육 대회에서는 시즈오카현 선발팀의 일원으로 우승을 경험했다.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고마자와 대학에 진학하여 축구 선수 생활을 이어갔다. 대학 시절에는 1년 후배인 사쿠마 사토루와 함께 뛰었다. 대학 졸업 후에는 시미즈 시청에 근무하면서 지역 축구 클럽인 시미즈 클럽에서 선수로 활동했다. 동시에 도쿄 대학의 연구생으로 들어가 아사미 토시오 교수 밑에서 2년간 피지컬 트레이닝 지도를 받으며 학업을 병행했다.

2. 2. 시미즈 클럽

고마자와 대학 졸업 후, 지역 축구팀인 시미즈 클럽에 입단하여 선수 생활을 이어갔다. 시미즈 클럽에서 활동하는 동안 도쿄 대학에서 체육 코치가 되기 위해 학업을 병행했다.

3. 지도자 경력

우치다는 1994년 제프 유나이티드 이치하라에서 육성부 코치를 맡으며 지도자 생활을 시작했다. 이후 베갈타 센다이에서 강화 및 육성 관련 업무와 유스팀 감독을 역임했으며, 이 기간 동안 일본 U-17 축구 국가대표팀 코치를 겸임하기도 했다. 2010년에는 반포레 고후 감독으로서 팀을 J1 리그로 승격시키는 성과를 거두었다.[1] 2011년 잠시 괌 축구 국가대표팀 임시 감독을 맡았고, 2012년부터 2015년까지는 시미즈 에스펄스에서 코치직을 수행했다.[4] 2016년부터는 중국 축구 을급 리그의 인촨 허란산[2]과 쑤저우 둥우에서 감독직을 역임했다. 2019년 친정팀인 반포레 고후로 복귀하여[5] 코치직을 거쳐 2021년부터는 U-18 팀 감독을 맡고 있다.[6]

기간소속직책
1994년 - 2004년제프 유나이티드 이치하라・지바육성부 코치
2004년 - 2009년베갈타 센다이강화·육성부 부장 대리, 육성 디렉터, 유스 감독, 육성부장
2004년 - 2007년일본 축구 협회내셔널 트레이닝 센터 코치 (겸임)
2004년 3월U-17 일본 대표사닉스컵 감독 (겸임)
2007년일본 축구 협회강사 (겸임)
2009년 - 2010년반포레 고후1군 팀 코치 겸 새틀라이트 감독 (2009), 1군 팀 감독 (2010)
2011년 8월 - 9월괌 축구 국가대표팀감독 (임시)
2012년 - 2015년시미즈 에스펄스1군 팀 코치, 1군 팀 수석 코치, 새틀라이트 감독
2016년 2월 - 2017년인촨 허란산감독
2017년쑤저우 둥우감독
2019년 -반포레 고후1군 팀 수석 코치 (2019), 1군 팀 코치 (2020), U-18 감독 (2021-)


3. 1. 제프 유나이티드 이치하라 (지바)

1994년 제프 유나이티드 이치하라의 육성부 코치로 부임하며 본격적인 지도자 경력을 시작했다. 제프 유나이티드에서는 게르트 엥겔스, 즈덴코 베르데니크, 이비차 오심 등 경험 많은 유럽 출신 감독들 밑에서 지도 경험을 쌓았다. 이는 당시 하부 조직 코치가 톱 팀 어시스턴트를 겸임하는 구단 시스템 덕분이었다. 코치로서 마지막 해였던 2003년에는 S급 라이센스를 취득했으며, 같은 해 12월 31일 팀을 떠났다.

3. 2. 베갈타 센다이

2003년 12월 31일, 제프 유나이티드 이치하라를 떠나 베갈타 센다이에 합류하여 처음에는 부단장으로 활동했다. 2004년부터는 구단의 강화·육성부로 자리를 옮겨 유스 감독 등을 역임했다.

2004년 3월 1일부터 2007년까지는 일본 U-17 축구 국가대표팀의 코치 보조 역할을 파트타임으로 맡았으며, 일본 축구 협회의 내셔널 트레이센 코치도 겸임했다. 이 기간 동안 사닉스 컵 국제 유스 축구 대회에서는 U-17 일본 대표팀 감독으로 지휘봉을 잡기도 했다.

2007년 이후에는 국가대표팀 관련 업무를 마치고 베갈타 센다이에서의 활동에 집중하며 훈련 이사, 청소년 개발 이사 등의 직책을 거쳤다. 2008년 시즌 종료 후 센다이를 떠났다.

3. 3. 반포레 고후

2008년 시즌 종료 후 베갈타 센다이를 떠나, 대학 후배인 사쿠마 사토루GM으로 있는 반포레 고후의 코치 겸 위성팀 감독으로 부임하여 안마 타카요시 감독을 보좌했다. 이듬해인 2009년, 안마 감독의 후임으로 반포레 고후 감독으로 승격했다.

2010 시즌에는 팀을 J2 리그 2위로 이끌며 J1 리그 승격을 달성했지만, 시즌 종료 후 감독직에서 물러났다.[1]

이후 중국 리그 등에서 활동하다가, 2019년 반포레 고후의 헤드 코치로 복귀했다.[5] 2021년에는 반포레 고후 U-18 팀의 감독으로 자리를 옮겼다.[6]

3. 4. 괌 대표팀

2011년 8월, 일본 축구 협회의 파견 형식으로 괌 대표팀 감독으로 취임했다. 다만 이는 1개월간의 임시 감독직이었다.

3. 5. 시미즈 에스펄스

2012년부터 시미즈 에스펄스의 코치로 취임했다. 2015 시즌 종료 후 시미즈를 퇴단[4]했다.

3. 6. 중국 리그

2015년 시즌 종료 후 시미즈 에스펄스를 떠났다.[4] 같은 해 12월 22일, 중국 축구 을급 리그(중국 3부 리그)의 인촨 허란산 감독으로 부임하여 2016 시즌을 준비했다.[2] 이후 같은 리그의 쑤저우 둥우에서도 감독을 맡았다.

3. 7. 반포레 고후 복귀

2015년 시즌 종료 후 시미즈 에스펄스를 퇴단[4], 중국 축구 을급 리그(중국 3부)의 닝샤 산위하이, 쑤저우 둥우에서 각각 감독을 맡았다. 2019년부터 반포레 고후의 헤드 코치로 복귀했다[5]. 2021년에는 반포레 고후 U-18 감독으로 취임했다[6].

4. 감독 통계

[3]

시작종료기록
G승률
방포레 고후20102010361913452.78
합계361913452.78


참조

[1] 웹사이트 J2甲府が内田新監督発表、再建へ意欲 http://www.nikkanspo[...] nikkansports.com 2009-12-15
[2] 웹사이트 银川山屿海贺兰山足球俱乐部今日成立 赛季目标冲甲 http://news.xinhuane[...] news.xinhuanet.com 2015-12-29
[3] J.League Data Site J.League Data Site https://data.j-leagu[...]
[4] 간행물 内田一夫 サテライト監督退任のお知らせ https://www.s-pulse.[...] 清水エスパルス 2016-01-04
[5] 간행물 内田 一夫 氏 トップチームヘッドコーチ就任のお知らせ http://www.ventforet[...] ヴァンフォーレ甲府 2018-12-17
[6] 간행물 内田 一夫 トップチームコーチ、ヴァンフォーレ甲府U-18監督就任のお知らせ https://www.ventfore[...] ヴァンフォーレ甲府 2021-01-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